한국교회 연합운동, 희망은 있는가

이효상 사무총장(미래목회포럼)


2014
, 한국교회가 헤쳐 나갈 길이 멀고 험하다. 마치 어둔 터널을 통과해야 하는 심정이다. 분열과 갈등, 지도자들의 추한 모습으로 교회가 사회를 걱정하는 아니라 사회가 교회를 걱정하는 시대가 됐다.

 

현재 한국교회의 대국민 신뢰도는 20% 된다. 이런 신뢰도로는 사회 통합, 소위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다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더군다나 한국교회는 숫적 감소, 안티기독교 세력의 저항, 초대형 교회의 역기능, 연합기관들의 사분오열, 복음적인 세속화와 힘겨운 싸움을 하고 있다. 그러기에 한국교회를 되살려야 한다는 절박함이 곳곳에서 울리고 있다.

 

2014 한국교회가 땅의 희망이 되려면 어떤 모습으로 변화되어야 하는지, 사회를 이끌고 지도력과 개혁과 갱신으로 길을 찾을 있을지 되묻게 된다.

 

연합운동은 개교회가 없는 일을 대변하기 하기위하여 연합하여 한국교회를 보호하고 대사회적 역할을 감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연합운동이 사분오열의 위기에 놓여있다. 진정 한국교회의 미래를 위해서라면 홀로 교회주의나 교단중심이라는 교권주의에서 자신을 내려놓고 회개와 자성의 심정으로 하나 되는 연합하는 자리로 나와야 한다. 그리스도예수 안에서 어찌 지체를 찢는 일을 먹듯 있겠는가?

 

지금 한국교회는 지푸라기라도 붙잡듯 연합하기 위해서라면 작은 희망이라도 붙들어야 한다. 작은 물방울이 함께 하므로 강을 이루는 것처럼 함께 하므로 한국교회는 도약 있다. 순교의 피로 세워진 한국교회! 한국교회는 연합하기 위해서 절체절명의 순교자적 각오가 절실한 때이다.

 

그동안 교계 지도자들의 조금 부족함이 있어도 하나의 성경, 하나의 찬송가, 하나의 신앙고백, 하나의 주기도문은 한국교회 성도들의 자랑거리이자 긍지이었다. 그러나 이마져 사라지고 있다.

 

새로운 연합기구들 만들려는 일부 정치꾼들의분열 해답이 아니다. 문제가 있다고 단체를 만드는 것이 답이 수는 없다. 오히려 한국교회를 병들게 하고 연합된 힘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2014 한국교회 연합운동, 희망은 있는가? 라고 물어보면 모두들 고개를 절래 절래 흔든다. 그만큼 연합이 힘들다는 것이다. 입으로는 연합을 말하면서도 행동은 전혀 다르게 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희망과 기회가 있다. 먼저는부활절연합예배에서 희망을 본다. 연합기구의 분열은 함께 드리던 전통마저 깨뜨렸고, 예배 역시 사분오열되고 말았다. 지난해 부활절연합예배는 자그마치 3곳에서 드려졌다.연합예배 드리면서예배에서조차 하나 되지 못하는 부끄러움과 상처만 남겼다. 이런 자성을 안고 올해부터라도부활절연합예배 교단이 연합하여 하나의 신앙고백으로서의 예배를 드릴 수만 있다면 무너진 연합운동을 복원하고 도약을 기대할 있다.

 

진정 2014 한국교회, 희망은 있는가 한국교회는 한번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 한국교회에 복음이 전래되고 최초의 선교사 알렌이 입국한지 130주년을 맞이한다.한국기독교 선교130주년 바로 그것이다. 연합기관이라면 함께해야 한다.

 

역사란 사람, 그것도 이미 자신에게 할당된 삶을 산사람들을 부활시키는 작업이다. 과거의 인물들이 어떤 모습으로 다시 살아날 것인가는 역사가의 판단에 달려있다. 개개인의 삶이 하나하나를 소우주라고 부를 있을만큼 소중한 것이라면 그에 마땅한 존엄성을 부여해야 것이다. 땅에서 삶을 마감한 사람들의 존엄성은 더더욱 존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역사는 과거를 캐내어 현재를 만들어가는 작업이다. 깊고 풍요롭게 기억된 과거는 깊고 풍요로운 현재를 형성하고, 깊고 풍요로운 미래를 예비한다. 현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듯한, 세기전의 사람들과 사건들을 기억속에 되살리는 것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사람이나 기업이나 사회나 국가나정신적 곳간 풍요로워야 발전하고 품격이 높아진다.

 

그런데 복음전래 130주년을 맞이하는 나라의 크리스천은 전체 인구의 4분의 1 이르고 있다. 그러나 중에서 사람이나 양화진을 기억하고 그곳에 묻혀있는 450 선교사들의 이름이나 기억하고 있을까?

 

한국교회의 과거를 되돌아보며 근대사를 조명하고 현재, 미래의 방향을 설정하는 일련의 과정은 그런 점에서 역사적 의미와 우리의 신앙고백이자 희망의 기초가 된다. 그러기에 오늘의 교회가 희망의 기회를 주목해야할 이유가 있다. 이벤트 아닌무브먼트로써의 자신이 죽고 예수그리스께서 부활하신 계절을 맞아 형제가 연합하여 예배하며, 정신가지고 초기 선교사들이 전한 복음과 복음 안에 담긴 가르침과 삶에서 한국교회가 나아갈 길을 찾겠다면 한국교회는 그래도 가능성과 희망은 있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