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349
번호
제목
글쓴이
129 靑松 건강칼럼 (851)... 코로나 봉쇄령 file
JTNTV
北·中 코로나19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으로 인한 전 세계 사망자가 지난 2년간 약 1500만명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이 수치에는 코로나19에 감염되어 사망한 사람을 위시하여 팬데믹이 초래...  
128 靑松 건강칼럼 (850)... ‘하늘나라 별’이 된 ‘월드 스타’ 강수연 file
JTNTV
뇌동맥류와 뇌출혈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The Jesus Times 논설고문) 한국 영화계 최초의 ‘월드 스타’였던 강수연(姜受延) 배우가 뇌출혈(腦出血)로 지난 5월 7일 향년 56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강수연씨는 지난 5일 서울 압구정동 자...  
127 靑松 건강칼럼 (849)... 코로나 초과 사망자 file
JTNTV
코로나 대유행 예측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 The Jesus Times 논설고문) 2019년 12월 중국 우한(武漢)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COVID-19)이 팬데믹으로 세계 227국에서 516,387,440명이 확진되었으며, 6,278...  
126 靑松 건강칼럼 (848)... 한국 곡물자급률 19.3% file
JTNTV
휘청이는 식량안보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The Jesus Times 논설고문) 코로나19 팬데믹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전쟁의 장기화 등으로 식량안보가 세계 여러 나라의 현실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식량자급률(食糧自給率)이 50%를 밑도...  
125 靑松 건강칼럼 (847)... 코로나 재감염과 재유행 file
JTNTV
코로나(COVID-19) 출구 전략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The Jesus Times 논설고문) 尹錫悅(Yoon Suk-yeol)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마치 코로나가 없는 것처럼 모든 방역 조치를 해제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며 文在寅(Moon Jae-...  
124 靑松 건강칼럼 (845)... 꿀벌이 사라지면... file
JTNTV
양봉(養蜂)농가의 꿀벌 실종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The Jesus Times 논설고문)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 그 많던 꿀벌은 어디로 갔을까? 전국에서 양봉농가의 벌통에서 꿀벌이 자취를 감추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한국양봉협회(韓國養...  
123 靑松 건강칼럼 (844)... 암 예방과 치료 file
JTNTV
올브라이트 국무장관, 癌으로 별세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The Jesus Times 논설고문) 미국 제64대 국무장관이자 최초의 여성 국무장관인 매들린 올브라이트(Madeleine Albright) 박사가 지난 3월 23일 향년 84세의 나이로 지병인 암(c...  
122 모든 질병의 근원은 산소 결핍에서 온다. 산소캡술이 답이다. file
JTNTV
세계 최초로 특허를 내고 보급하고 있는 “프리미엄 산소 캡슐 O2VIS 2015년 3월 26일 시작한 ”(주)오투비스(O2VIS)”는 핵심기술인 ‘초소형 가스저장장치 제조공정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음용수용 산소캡슐 사업, 산소 관련 화장품 사업, 기타 가스 캡슐 및 부...  
121 靑松 건강칼럼 (843)... 탄소중립과 토양관리 file
JTNTV
흙의 날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 The Jesus Times 논설고문) ‘흙의 날’은 흙의 소중함과 보전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정부는 2015년에 3월 11일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했다. 3월 11일로 정한 이유는 ‘3’은 3농(농업·농촌·농민)을 상징하...  
120 靑松 건강칼럼 (842)... Long COVID(코로나 후유증) file
JTNTV
코로나19 후유증(後遺症)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The Jesus Times 논설고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확진자 3명 중 1명은 발병 후 4주 이상 증상이 지속되거나, 치료 후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19 靑松 건강칼럼 (841)... 김정주 게임황제 별세 file
JTNTV
우울증과 자살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The Jesus Times 논설고문) ‘게임 황제’ ‘신흥 재벌’ 등으로 불린 넥슨(NEXON) 김정주(金正宙) 창업주가 지난 2월 27일 미국 하와이에서 54세(출생 1968.2.22)의 나이로 별세했다. NXC(넥슨 지주...  
118 靑松 건강칼럼 (840)... 이어령 교수 췌장암으로 별세 file
JTNTV
‘한국의 지성’ 故 이어령 교수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The Jesus Times 논설고문) ‘우리 시대 최고의 지성(知性)’ 이어령(李御寜) 전 이화여대 명예교수가 2월 26일 향년 88세를 일기로 췌장암(膵臟癌) 투병 중 세상을 떠났다. 고 이어...  
117 靑松 건강칼럼 (839)... Pandemic에서 Endemic으로 file
JTNTV
다른 팬데믹 또 온다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The Jesus Times 논설고문) 팬데믹(Pandemic)과 엔데믹((Endemic)의 차이는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이 감염병의 전 지구적인 확산과 사망자의 급증, 사회경제적인 충격 등을 뜻하...  
116 <박명윤 칼럼(22-13)> 축하 만찬 file
JTNTV
<박명윤 칼럼(22-13)> 축하 만찬 ▲ 수빈에서 축하만찬, 김우택 교수 웅비장 훈장 수훈, 김명수 목사 설교. 어제(2월 21일, 월요일) 저녁에 필자 부부가 연세대학교 김우택 연구부총장((Senior Vice President for Research) 부부와 연세대학교회(Yonsei Univer...  
115 靑松 건강칼럼 (838)... 늙는다는 착각, 노인은 없다 file
JTNTV
웰에이징(Well-Aging)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The Jesus Times 논설고문) 사람은 부모님의 사랑으로 잉태되어 엄마의 따뜻한 자궁 속에서 10개월(280일) 동안 태교(胎敎)를 받고 이 세상에 태어난다. 출생 후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114 靑松 건강칼럼(837)... 국민 MC 허참 肝癌으로 별세 file
JTNTV
대사성질환과 간암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The Jesus Times 논설고문) 1984년부터 25년간 ‘가족 오락관’을 진행하며 ‘국민 MC’라고 불렸던 방송인 허참이 간암(肝癌) 증세가 악화돼 지난 2월 1일 향년 73세 나이로 별세했다. 고인은 자...  
113 靑松 건강칼럼 (836)... ‘암중의 암’ 폐암 file
JTNTV
아는 만큼 가까워지는 폐암(肺癌)이야기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The Jesus Times 논설고문) 사단법인 대한암협회(大韓癌協會)는 2월 4일 ‘세계 암의 날(World Cancer Day)’를 맞아 국내 폐암 환자 286명을 대상으로 폐암 진단 및 치료...  
112 靑松 건강칼럼 (835)... DNA, RNA 그리고 mRNA file
JTNTV
차세대 백신 플랫폼 mRNA 기술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The Jesus Times 논설고문) 2022년 새해를 맞이한 지도 벌써 한 달이 지나 오늘(2월 1일)은 음력 정월 초하루(Lunar New Year’s Day) ‘설’ 명절이다. 새해 결심(New Year’s Resolu...  
111 靑松 건강칼럼 (834)... ‘일상 회복’ 언제쯤? file
JTNTV
코로나 팬데믹 3년차, 오미클론 대확산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2020년 1월 20일에 국내에서 코로나19(COVID-19, Coronavirus Disease 2019) 첫 확진자가 나왔다. 첫 확진자는 1월 19일 인천공항으로 입국한 우한 거주 중국인 여성(35...  
110 靑松 건강칼럼 (833)... ‘발’은 제2의 심장 file
JTNTV
발바닥 적신호, 족저근막염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The Jesus Times 논설고문) 필자는 ‘제2의 심장’이라 불리는 발에 관한 건강칼럼을 준비하면서 발과 발가락에 관심을 가지고 국립중앙박물관의 ‘사유(思惟)의 방(Room of Quiet Con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