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말해서 신뢰라는 말 속에는 전적으로 내맡겨버릴 정도로 굳은 믿음이 전제되어야 함이 들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신뢰받는 기윤실(기독교윤리실천운동), 신뢰받는 교회가 되려면 어떤 조건을 반드시 갖추어야 할까? 작년에 기윤실은 직접 실시한 ‘한국교회의 사회적 신뢰도’여론조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한국 개신교회를 신뢰한다는 사람들의 비중은 응답자의 18.4%에 불과한 반면, 불신한다는 사람들의 비중은 48.3%로 나타나 개신교회에 대한 불신자 수가 신뢰자 수보다 3배 가까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더구나 젊은 사람일수록, 그리고 소득이 높을수록, 또한, 현재 비기독교인일수록 불신의 정도가 더 높다는 사실은 교회 성장 차원에서 볼 때 상당히 충격적이다. 아울러 사회와는 담 쌓은 개교회 활동만으로는 한국 교회의 앞날은 결코 밝지 않을 것임도 여실히 보여주었다.

그나마 우리에게 소망을 주는 것은 한국 교회가 감당하고 있는 사회봉사와 사회기여의 현황이 잘 소개된다면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이 평가한 신뢰지수의 차이 중 3분의 1가량이 줄어들 수 있다는 회귀분석 결과이다. 다시 말하여 한국 개신교회가 교회 내 활동에만 머물지 말고 다양한 사회구성원과의 소통을 잘 해 나간다면 성장의 가능성은 존재한다는 점이다. 목회자와 교인들이 사회봉사와 구제, 윤리와 정직 운동 등을 교회 밖인 사회에서 잘 전개하는 등 세상의 소금과 빛의 직분을 잘 실천하는 것이야말로 한국교회의 사회신뢰성 문제를 풀어 나갈 수 있는 길임을 잘 제시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발표 당시 이 조사결과는 한국 개신교회 안팎에 상당한 파장을 불러일으켰지만 이에 대한 개신교회의 단합된 실천의 목소리는 아직도 잘 들리지 않는다. 발등에 불이 떨어지고 있음을 애써 피하려는 느긋함 때문인지, 아니면 정말 사회현상에 대한 다소간의 무지함 때문인지, 이도 아니라면 잘 알면서도 실천하기가 그렇게 힘들기 때문에 전적으로 주님께 맡기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그러나 일은 인간이 저질러 놓고 대책 없이 주님께 떠맡겨버리는 몰염치한 짓은 아무래도 아니해야 할 것이다.

신뢰성 회복을 위해 기윤실이 행하는 모습은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그래도 아름답다. 기본 사역으로 사회신뢰운동, 교회신뢰운동, 회원실천운동 등 셋으로 구분하여,‘대한민국 교육봉사단(씨앗학교)’사업,‘중?고등학교 윤리담당 교사아카데미’사업,‘청소년을 위한 30일의 신뢰여정’사업,‘대학생 사회적 리더십 아카데미’,‘기독교윤리학교’,‘회원 릴레이 인터뷰’,‘교회방문프로그램’등 7대 사업을 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연구사역으로서 ‘현대 성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응답’,‘재개발과 분배정의에 대한 기독교적 매뉴얼’제작사업,‘현대 그리스도인 삶의 방식 매뉴얼’제작 사업 등 3대 사업 등 총 10대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 사업들 하나하나는 여러 회원들의 아이디어 제시와 토론 등을 통한 폭넓은 소통 하에 실시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신뢰성 회복에 분명 기여할 것이다.

이러한 기윤실의 구체적인 활동들은 우리나라 개별 교회의 신뢰성 회복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신뢰성 회복이라는 분명한 목적의식과 사업의 구체성은 분명 실현가능성을 높여주기 때문이다. 다만 문제는 개별교회로만 할 것이 아니라 적어도 지역별로 공동사업 내지 연합사업으로 전개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개별 교회, 특히 대형교회의 선제적인 자발적 참여와 구체적인 사업을 위한 재정적 뒷받침은 필요조건이 되며, 작은 교회에의 배려는 충분조건이 된다. 그리고 지역에서 교회들이 이러한 공동사업이나 연합사업들을 통해 다양한 사회구성원과의 소통을 잘 해 나간다면 사회신뢰성 회복은 우리도 모르게 빨리 향상될 것이며, 교회 발전과 성장은 그만큼 앞당기게 될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개별 교회들의 지역 공동사업이나 연합사업에의 자발적 참여와 대형교회의 작은 교회에의 배려, 다양한 사회구성원과의 열린 소통이야말로 사회신뢰성 회복의 필요충분조건이라 하겠다. 이 위에 하나님의 은혜가 더해진다면 더욱 아름다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