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가 스타들 생산하는 공장으로 전락하고 있다' 
 
▲기윤실은 15일 오후 4시 명동 청어람에서 '2차 목회자리더십 포럼'을 열었다

  오늘날 한국교회의 가장 커다란 문제 중 하나는 ‘진정한 신앙의 영웅 대신 스타들을 생산하는 공장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회가 지속적으로 회심의 자리에 들어감으로써 목회자들이 리더십의 본질을 회복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신앙적 영웅’ 대신 ‘스타들’ 생산하는 공장으로 전락하는 교회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은 15일 오후 4시 명동 청어람 3실에서 ‘한국교회 목회리더십의 윤리적 성찰과 발전을 위한 모색’이라는 주제로 ‘2차 목회자리더십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 ‘목회자의 윤리와 교회의 선교적 사회적 영향력의 관계’라는 제목으로 발제한 최형근 교수(서울신대 선교학)는 오늘날 한국교회 안에 신앙의 영웅들, 즉 진정한 역할모델들은 찾아볼 수 없고 스타들만 즐비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수많은 스타 목회자, 스타 신학자, 스타 CCM 가수, 스타 저술가들이 기독교 방송매체들은 물론 공영방송 매체에까지 진출하는 현상은 오늘날 지배문화의 첨단 연예산업에 물든 천박한 기독교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이에 그는 “교회가 엔터테인먼트 산업처럼 스타들을 생산하는 공장으로 전락하고 있다”며 “기독교 매체들과 기독교 출판사들까지도 국내외 스타 목회자들과 스타 저술가들을 이용해 이윤을 극대화하려고 애쓰고 있다”고 쓴소리했다.

  그 결과 한국교회가 수용하기 벅찰 정도로 많이 배출되는 신학생들이 모델로 삼아야 할 대상들이 축소되고 있으며, 그 대상은 점차 △본질에서 비본질로, △복음의 선포에서 프로그램 중심으로, △좋은 신학에서 나쁜 신학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있다는 게 그의 견해다.

  “약자의 편에 서서 세상을 변화시키는 ‘어릿광대’가 되라”

계속된 발제에서 최 교수는 오늘날 교회와 목회자들이 이러한 지배문화의 다양한 도전들에 직면해 갖춰야 할 기독교 리더십의 핵심적인 요소로 ‘어릿광대’로서의 예수의 이미지를 제시했다.

 그는 “예수의 이미지 중에는 선한 목자, 고난 받는 종, 위대한 랍비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어릿광대의 이미지가 가장 타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어릿광대 이미지가 정치경제적 현 상태에 대한 급진적이며 혁명적인 도전을 제기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그는 “성경에 나오는 믿음의 허다한 증인들은 복음을 전하는 데 목숨을 건 하나님의 어릿광대들이었고, 진정한 신앙의 영웅들이었다”며 “어릿광대는 권력자의 위치가 아니라 예수처럼 약자의 위치에서 섬김의 사역을 감당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최 교수는 “오늘날 목회자들은 예수님처럼 어릿광대가 되어 자신의 약함을 보여주고, 다른 이들과 함께 기쁨과 고통을 나누며, 세상을 변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회심’ 통해 복음에 대한 자신감 회복해야

  또한 최 교수는 한국교회 목회자들을 향해 ‘어릿광대 이미지로 대표되는 리더십의 회복’과 더불어 ‘복음의 의미를 발견하고 복음이 제시하는 삶을 따라 살아가려는 결단’, 즉 회심의 의미를 강조했다.

  그는 “지금은 교회가 종교의 사사화의 덫에서 벗어나 교회 내부를 향한 외부의 비판적 목소리들을 수용해야 할 때”라며 “그러려면 복음에 대한 자신감이 있어야만 한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이 복음에 대한 자신감은 교회가 지속적으로 회심의 자리에 들어감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는 또 “회심의 주도권은 우리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변화시키고 삶을 변화시키는 성령님께 있다”며 “회심의 문제는 목회자의 소명과 청지기 의식 그리고 목회윤리와 직결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목회자들의 개인적 문제는 교회 내부의 문제들뿐 아니라 대사회적인 인식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며 목회자들이 회심의 삶을 통해 교회의 본질과 리더십의 본질이 회복될 수 있도록 힘쓸 것을 거듭 당부했다.

이날 포럼에는 최 교수 외에 노영상 교수(장신대 기독교윤리학)가 ‘목회윤리의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의 목회리더십’이라는 제목으로 발제했으며, 정현구 목사(서울영동교회)와 김현진 목사(사귐의교회) 등이 논찬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