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사귄 친구, 66 오랜 친구


jtntv0101.jpg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나이가 들수록 옛날 친구들과 만나 옛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즐겁다. 지난 토요일 12 15 점심시간에 60 1958년에 창립된 Pine Tree Club 초창기 회원 7명이 만나 이태원 소재 라그릴리아(LAGRILLIA) 이탈리안 캐주얼 레스토랑에서 맛있는 이태리 음식과 함께 포도주를 즐겼다. 대학생 시절인 1950년대 말과 60년대 초에 서울시청 인근에 소재한 미국문화원(USIS) 회의실에서 매주 토요일 오후에 만나 2시간 동안 영어로 다양한 주제로 회의를 진행하고 봉사활동도 많이 했다. 이제 80 전후인 이들은 대학교수, 병원장, 회사 대표이사, 연구소 이사장, 언론인 다양한 직업에 종사했다.

 

 지난(12 17, 월요일) 점심은 66 北韓 625南侵戰爭 중인 1952 대구 경북중학교에 입학하여 경북고등학교까지 6 동안 공부를 같이한 친구들 일산에 거주하는 동창생들이 모였다. 오늘은 일산 주엽역 인근 맛있는 불고기로 유명한 서울집(Seoul Zip)에서 식사를 했다. 필자는 서울 마포구에 거주하지만 초청회원으로 자리를 함께 했다. 오늘 모인 11 경기도지사를 역임한 林敬鎬 회원이 점심 값을 지불했으며, 일산모임회장(李載弘) 양주 병을 가져와 송년회 분위기를 연출했다. 회원들은 대학총장, 교수, 은행장, 고위공무원, 신문기자, 대기업 임원 등을 역임한 인사들이다.

 

靑松 건강칼럼 (670)... 비만 의료비 급증

비만(肥滿) 사회경제적 비용

 우리가 가난했던 시절인 1970년대까지만 해도 배가 불뚝 나온 것을 사장님 라고 부르면서, 비만이 () 상징이기도 했다. 朴正熙(1917-1979) 대통령이 주도한 경제개발로 집안 살림이 풍족해지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비만 인구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마디로 많이 먹고 움직여 생기는 병이다.


 

세계적으로 소아청소년의 2 당뇨병(糖尿病) 발병의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매년 2.3%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소아와 청소년 비만율이 증가하는 만큼 2 당뇨병 위험도 올라가고 있다. 대개 소아와 청소년은 췌장(膵臟) 문제로 인슐린(insulin) 생성되지 않는 1 당뇨병만 걸린다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육류와 가공식품을 많이 섭취하고 활동량이 적은 생활습관으로 인하여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는 2 당뇨병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어릴 때부터 비만이 되지 않도록 생활습관을 관리해야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비만의 사회경제적 영향연구 결과를 12 10일에 발표했다. 연구는 2003-2004 일반건강검진 수검자 비만관련 질병에 대한 과거력이 없는 10091251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2016 기준 건강보험 검진자격진료내역 자료와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를 연계하여 연구를 했고, 의원 약국에 지출되는 의료비를 비롯해 의료기관을 이용할 발생하는 부대비용 직접의료비와 조기사망 생산성 손실 저하로 인한 간접비용을 합한 비용으로 추계했다.

 

한국인이 비만으로 인해 지불하는 사회경제적 손실 규모는 2016 기준 1년간 114679억원으로 조사됐다. , 의료비(병원비, 약값) 절반이 넘는 51.3% 58858억원, 업무생산성 저하 23518억원, 업무 공백에 따른 손실(의료기관 방문 ) 14976억원, 조기사망(早期死亡) 따른 미래소득 손실 11488억원, 간병비 4898억원, 교통비 940억원 등이다. 비만으로 인한 의료비의 경우, 2013 44000억원에서 2016 59000억원으로 15000억원 이상 증가했다.

 

비만에 기인해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에 대한 성별 비중은 남자가 56.6%(64905억원), 여자는 43.4%(49774억원) 기록해 남자가 여자에 비해 1.3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비중은 50대가 34370억원(26.8%)으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60 24349억원(21.2%), 40 2908억원(18.2%), 70 18272억원(15.9%), 30 9051억원(7.9%), 80 이상 8390억원(7.3%), 20 이하 3003억원(2.6%) 순으로 나타났다.

 

질병군별로 손실비중은 전체 사회경제적 비용 손실규모가 가장 것은 당뇨병에 의한 비용으로 22.6%(2624억원), 고혈압 21.6%(19698억원), 허혈성심장질환 8.7%(7925억원), 관절질환 7.8%(7092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비만관련 1인당 진료비는 전라남도 337,844, 전라북도 324,980, 부산광역시 315,820, 강원도 306,650 순으로 지출 비용이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가장 낮은 지역은 서울특별시로 251,762원이며, 전체 평균은 278,120원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 비만(肥滿) 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병(疾病)으로 21세기 신종 전염병으로 규정한 이래로 인류가 극복해야 중요한 질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비만(obesity)이란 단순히 체중(體重) 많이 나가는 것을 의미하기보다 체내에 과다하게 많은 양의 체지방(體脂肪) 쌓여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비만인 경우 체중이 많이 나가지만 비만이 아니더라도 근육(筋肉) 많은 사람은 체중이 많이 나갈 있다.

 

비만의 원인은 섭취하는 열량에 비해 소비 에너지가 적을 여분의 에너지가 체지방의 형태로 몸에 축적되는 현상이다. , 음식물을 먹은 것에 비해 활동이 부족할 생긴다. 비만은 다양한 신경내분비학적 물질들과 에너지 대사에 관련되는 여러 요소들의 이상이 유전적 또는 현상적으로 복잡하게 연관되어 나타난다. 이에 불규칙한 식습관, 과다한 음식 섭취, 운동 부족, 내분비계통 질환, 유전적 요인, 정신적 요인, 약물 등이 원인이 있다.

 

비만 진단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생체전기저항측정법(BIA: bioimpendence analysis), 허리둘레기준, 내장지방기준 등으로 진단한다. 체질량지수(BMI) 체중(kg) 신장(m) 제곱으로 나눈 값을 말하며, 신장에 비해 체중이 적당한지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근육과 지방량을 구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동양인의 BMI 기준은 23.0-24.9 과체중, 25-29.9 비만, 30 이상 고도비만이지만, 서양인은 30 이상을 비만으로 본다.

 

생체전기저항측정법을 이용한 체성분 분석 결과 체지방율이 여성의 경우 30% 이상, 남성은 25% 이상을 비만이라고 한다. 허리둘레기준은 전신비만 이외에 복부비만을 진단하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동양인 남성의 경우 90cm 이상, 여성은 85cm 이상을 복부비만이라고 한다. 복부비만을 분석하기 위한 정밀한 수단으로 복부 CT촬영을 있으며, CT 이용한 내장지방 측정이 가장 정확하다.

 

내장지방형 비만(內臟脂肪形肥滿, intra-abdominal fat accumulated obesity)이란 지방이 복강 안쪽의 내장 사이사이에 존재하는 비만형을 말한다. 대개 비만을 상박이나 넓적다리, 엉덩이 등에 지방이 붙은 피하지방형을 말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복부의 장기 사이 장간막 부분에 지방이 축적되는 내장지방형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내장지방이 많을수록 당뇨병, 고혈압, 심장병 등의 합병증이 많다는 것이 밝혀졌다.

 

비만의 증상은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 숨찬 증상, 관절통, 각종 합병증에 의해 매우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날 있다. 비만한 사람은 정상체중인 사람보다 2 이상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 이는 주로 혈관동맥경화를 통한 심혈관질환에 의한 것이다. 또한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 담석증, 수면무호흡증, 생리불순, 난소질환, 불임증, 성욕감퇴, 우울증, 퇴행성관절염, 통풍 등과 관련이 있다. 또한 대장암, 췌장암, 전립선암, 유방암 등이 생길 위험성도 증가한다.

 

치료는 비만과 연관되어 있는 합병증의 예방과 치료를 말한다. 비만의 대부분은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생활습관의 변화가 기본이다. ,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식사량은 줄이고, 운동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칼로리 섭취를 줄이는 식이요법이 중요하므로 평소에 섭취하던 열량보다 500kcal 정도를 섭취하도록 한다. 하루 섭취 칼로리에서 500kcal 줄이면 체중을 1주일에 0.5kg 감소할 있다. 약물로 비만을 치료하기도 한다. 사용되는 약물은 크게 식욕(食慾)억제제와 지방(脂肪) 흡수를 저해하는 약으로 나눌 있다.

 

비만 예방을 위하여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 시간을 별도로 내기 어려운 경우에는 일상생활에서 활동량을 최대한 늘리도록 한다. 가까운 거리는 걸어 다니고, 승강기 대신 계단을 이용하도록 한다. 식이요법과 운동요법과 더불어 행동요법도 필요하다. 예를 들면, 매일 체중을 측정하면서 비만 탈피 의욕을 다지고, 과식을 피하기 위해 작은 접시를 사용하고 간식을 먹지 않도록 한다.

 

건강의 () 내장지방(內臟脂肪) 태우려면 저녁식사와 아침식사 사이 12시간 이상 공복(空腹) 유지해야 하므로 야식(夜食) 금물이다. 내장지방이란 혈액 속으로 지방산(脂肪酸) 빠져나와 심장, 뇌혈관에 쌓이며, 지방 세포 사이에 염증세포가 끼어들어가 염증(炎症) 물질을 분비한다. 피하지방(皮下脂肪) 내장지방만큼 치명적인 위험은 없다.

 

단식을 하면 혈당과 인슐린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서 지방 대사가 합성 모드에서 분해 모드로 바뀐다. 보통 단식 12시간이 지나야 지방 대사가 시작되므로 저녁식사와 아침식사 사이 12시간 공복을 유지하여야 한다.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사람은 지방 대사가 되는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길게 단식해야 한다.

 

비만은 자체의 문제보다는 비만으로 인한 각종 합병증이 훨씬 무섭다. 한국인 30-50대가 비만으로 인한 손실의 52.9% 차지하고 있다. 이는 생산가능인구의 건강을 저해하고, 만성질환 진료비 증가에 기여하고 있으므로 비만관리 대상의 우선순위 설정 고려해야 연령층이다.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을 적극 추진하여야 하며, 일반 국민들이 비만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비만예방에 적극 동참하도록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