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松 건강칼럼 (586)... 살충제 달걀사태

살충제 달걀사태 일파만파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1 박명윤 건강칼럼.jpg

서민들도 쉽게 구해 먹을 있는 영양식품인 달걀이 수난을 당하고 있다. 전국의 산란계(産卵鷄) 농장들이 지난해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AI) 이어 금년에는 폭염(暴炎) 최근에 발생한 살충제(殺蟲劑) 달걀공포와 대란으로 고난을 당하고 있다. 살충제 달걀 파문은 벨기에와 네덜란드에서 시작되었다.

 

지난 7 20 벨기에(Kingdom of Belgium) 처음으로 유럽연합(EU) 피프로닐(fipronil) 오염 달걀의 존재를 신고하면서 살충제 달걀문제가 확인된 현재(8 16)까지 유럽 독일, 영국, 프랑스 17개국과 아시아 국가 한국과 홍콩을 포함하면 모두 19개국에서 살충제 달걀이 확인됐다.

 

벨기에 당국은 지난 6 살충제 달걀 처음 알고도 공식 발표를 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다. 하지만 벨기에 농업부 장관은 최근 의회 청문회에서 네덜란드 당국이 지난해 11 살충제 달걀에 대한 제보를 받고도 이를 공개하지 않았다고 주장해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한국소비자연맹이 지난 4 6 개최된 유통 달걀의 농약 관리 방안 토론회에서 피프로닐과 비펜트린(bifenthrin) 기준치를 초과한 샘플이 각각 하나씩 있었다고 공개한 있다. 그러나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농림축산식품부 조사가 진행 중이던 8 10 기자 간담회에서 유럽의 살충제 계란을 언급하면서 국내산 계란은 안전하다 말했다가 8 16 국회 보건복지위에 출석하여 뒤늦게 사과했다.


우리나라에서 살충제 달걀 파문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주무부처가 농식품부와 식약처로 나뉜 구조에서 부처가 손발이 맞지 않아 엇박자대응을 내어 사태를 키우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근본적으로 계란 생산 단계는 농식품부, 유통과 소비 단계는 식약처가 관할하는 체계 탓에 안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으며, 이번 사태에 대응할 컨트롤 타워 보이지 않고 있다.

 

피프로닐 1993년에 세계시장에 처음 출시되어 국제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된 살충제(殺蟲劑)이다. 개와 고양이의 벼룩, 진드기 해충을 없앨 사용할 있으나, 닭과 오리 사람들이 먹는 식용가축에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피프로닐을 사람이 다량으로 섭취할 경우 중간 정도의 독성(毒性) 있는 2 위험 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피프로닐을 장기간 복용하거나 노출될 경우 구토와 설사, 어지럼증이 나타날 있고, 노출량에 따라 , 신장, 갑상선 장기손상 가능성이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KFDA) 국제 식품 규격에 따라 피프로닐 잔류 기준치를 달걀 0.02mg/kg, 닭고기는 0.01mg/kg으로 정해놓았다.

 

화학물질의 급성 독성(毒性)으로 실험동물의 반이 죽은 섭취량인 반수치사량(半數致死量, lethal dose 50: LD50) 본다. 피프로닐의 반수치사량은 몸무게 1kg 97mg이므로 체중 60kg 사람이 5820mg(5.82g) 섭취할 경우 죽을 확률이 50% 된다. 남양주 농장에서 검출된 피프로닐 최고치는 50g 달걀 하나에 0.0018mg이므로 사람이 반수치사량만큼 피프로닐을 섭취하려면 달걀 323만개를 먹여야 한다.

 

독일 연방위험평가기구는 살충제 달걀에 대하여 체중 65kg 성인이 하루에 피포로닐에 오염된 달걀을 7 섭취하더라고 안전 기준을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체중에 따라 안전 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체중이 적은 어린이는 주의해야 한다. , 체중 16kg 아동인 경우 24시간 동안 섭취해도 지장이 없는 피프로닐 오염 달걀 수는 1.7개다.

 

닭은 땅에 몸을 문지르는 목욕이나, 발로 모래나 흙을 뿌리는 등의 동작으로 몸에 붙은 해충을 없앤다. 하지만 산란계(産卵鷄) 사육 단가를 낮추기 위해 좁은 공간에 많은 닭을 키우는 밀집 사육되는 닭은 같은 동작으로 해충을 없애기 어렵다.

 

닭에 진드기 번식이 늘어나면 산란율이 떨어지고 폐사율은 높아진다. 이에 산란계 농가에서는 살충제를 뿌려 닭에 기생하는 해충을 없애왔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정부가 허가한 진드기 살충제 성분은 비펜트린 13종이며, 해당 살충 성분의 경우 각각 잔류 허용기준 등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비펜트린의 기준치는 0.01mg/kg이다. 하지만 살충제 살포가 거듭되면서 해충에게 면역력이 생기고, 일부 농가에서는 독성이 강한 미승인 살충제를 살포해왔다.

 

현재(8 16)까지 사용금지 또는 잔류 기준 초과 살충제가 검출된 산란계 농장 6 5곳이 친환경 인증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친환경 인증 제도한 소비자들이 믿고 먹을 있는 안전한 농축산물을 생산하도록 도입된 제도이다. 전체 산란계 농가 1456곳의 절반이 넘는 780곳이 친환경농장 인증을 받았다. 친환경 마크 붙어 팔리는 달걀은 일반 계란보다 40%까지 비싸며, 친환경 농장에서 생산한 달걀이 전체 유통량의 60% 차지하고 있다.

 

닭이 낳은 알을 달걀또는 계란(鷄卵)이라고 부른다. 달걀은 닭의 닭이알달걀 진화된 우리말 고유어이다. 요즘은 달걀을 산란계 사육농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하지만, 1945 해방 필자가 국민학교(초등학교) 다닐 달걀은 비싸고 귀한 음식이었다. 예를 들면, 봄과 가을에 원족(소풍) 도시락에 들어있는 삶은 달걀 1개를 먹을 있었다. 당시 달걀 꾸러미 설과 추석 명절 선물로 인기품목이었다.

 

달걀(egg) 생명을 낳는다 신비력 때문에 고대의 종족 간에서 생명력의 표현이요, 영혼의 용기(容器) 이해했다. 이란이나 유대 민족은 부활의 주력을 갖는 신성물로 여기고, 달걀을 먹거나 선물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는 기독교의 부활절(復活節) 달걀 장식으로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도 나일 강의 대홍수 이후 인류의 부활을 상징하는 뜻에서 달걀을 제단에 바치고 먹는 풍습이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달걀을 먹은 역사는 오래된다. 경주 황남동 155 고분(古墳) 유물함에서 토기에 담긴 달걀 20 개를 1973 9 18일에 발굴했으며, 달걀껍질이 부패되지 않고 출토된 것은 세계적으로 처음 있는 일이다. 또한 닭이 신라시대부터 가금(家禽)으로 사육되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하겠다.

 

달걀 1개는 우유 1( 180 밀리리터) 필적하는 영양분을 함유한 완전식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달걀에는 단백질과 지질을 위시하여 비타민과 무기질 특히 아연이 많이 들어 있어 자양강장 작용을 한다. 또한 달걀은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가장 이상적인 식품이다. 달걀은 닭이 먹는 모이에 따라 영양가와 맛에 차이가 있다.

 

지난해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금년 미국산 달걀이 수입되자 색깔을 두고 이야기가 많았다. 국내 유통 달걀의 99% 갈색인 반면, 미국산 달걀은 흰색이다. 이는 흰색 품종 닭이 흰색 달걀을 낳고, 갈색 품종은 갈색 달걀을 낳기 때문이다. 세계 10 달걀 생산 국가(FAO, 2007 통계) 중국, 미국, 인도, 일본, 멕시코, 러시아, 브라질, 인도네시아, 프랑스, 터키 등이다.

 

달걀은 노른자위(卵黃), 흰자위(卵白), 껍데기(卵殼) 이루어져 있다. 알껍데기는 주로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깥으로부터 산소를 받아들여 안에서 호흡한 바깥으로 이산화탄소를 내보낼 있게 되어 있다. 껍질의 안쪽에 얇은 세포막(細胞膜) 있으며, 노른자위(난황) 알끈에 의해 알의 중심이 고정된다. 달걀노른자의 인지질(燐脂質) 뇌세포와 신경세포의 구성 성분이며 지능과 기억력 향상, 치매 예방 등에 좋다.

 

달걀의 소화는 요리 방법에 따라 다르다. , 달걀 2( 100g) 소화시간은 반숙인 경우 1시간 30 정도 걸린다.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 회복기의 환자에게 초란(醋卵) 좋다고 했다. 피로가 심할 초란을 마시면 피로 회복이 빨라지며, 동맥경화 예방, 고혈압, 위하수 등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중국 북송(北宋) 968년경에 성서(成書) 일화자본초(日華子本草)에는 600 종의 약초와 식품이 수록되어 있으며 내용이 풍부하고 실용적이라고 한다. 책자에 계란은 심장을 진정시키고 오장을 안정시키며, 태아(胎兒) 평안케 한다. 열병과 적백대하증, 이질, 산후허리(産後虛痢) 등을 다스리는데 밀가루와 버무려 지저 먹는다. 계란술은 산후의 뇌빈혈을 다스리고 소변을 이롭게 한다. 노른자를 볶아 기름을 내어 쌀가루를 버무려 두창(頭瘡) 붙인다.라고 기록돼 있다.

 

(鳥類) 알을 낳아 자손을 퍼뜨린다. 자란 새의 생김새가 제각각이듯, 알도 모양이나 색이 다양하다. 과학자들은 알의 생김새와 색깔을 통해 새가 사는 환경을 유추(類推)한다. 최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실린 미국 프린스턴대학의 조류학자인 매리 스토다드 교수는 논문에서 조류의 알은 어미의 비행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밝혔다. 닭은 날지 않는 조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