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松 건강칼럼 (560)... 조현병 환자의 묻지마살인

정신분열증(精神分裂症), 조현병(調絃病)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청송 박명윤 박사1.jpg

지난달 29일 인천에서 8세 초등학생 여아를 살해하여 유기한 17세 여고생, 그리고 지난해 517일 서울 강남역 인근 공용화장실에서 20대 여성을 살해한 30대 범인이 모두 조현병(調絃病) 환자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질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 ‘조현병’이라는 병명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전 세계의 조현병 유병률은 약 1%로 비교적 흔한 정신질환이며, 우리나라 조현병 환자는 약 50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현병’은 정신분열병(精神分裂病)2011년에 개명된 병명이다. ‘조현(調絃)’이란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는 뜻으로, 뇌 속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dopamine), 세로토닌(serotonin) 등의 이상으로 생기는 질환을 신경전달물질의 조절로 치료할 수 있다는 의미가 담겨 있어 환자와 가족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다. 한편 ‘정신분열증’은 병명 자체가 풍기는 부정적인 인상과 사이코패스(psychopathy, 반사회성 성격장애)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오해를 받았다.

 

김 모 양은 지난 329일 낮 1시경 인천 동춘동의 한 공원 놀이터에서 놀던 초등학교 2학년 여학생을 꾀어 유인한 뒤 공원 인근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로 데려가 목 졸라 살해하고 흉기로 훼손한 시신을 유기한 피의자는 “꿈인 줄 알았다”라고 말해 충격을 주고 있다. 구속된 김양은 2015년 이후 우울증(憂鬱症)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아왔으며, 최근에는 병이 악화돼 조현병으로 판정을 받았다. 학교에 적응하지 못해 지난해 자퇴했으며, 이후 학업중단 상태로 집에서 지냈다고 한다.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 김양이 좀 더 체계적인 관리를 받았다면 이런 참극(慘劇)을 예방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이에 청소년이 공교육 밖으로 밀려나서 외톨이가 되지 않게 학교와 병원, 지자체 등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적절한 치료와 보호를 제공하는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여야 한다. 우선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한 학생이 얼마나 되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전국의 미성년자 정신과 진료 환자 수는 166867(2015년 기준)이다. 선행(先行)학습 등 학원 사교육 스트레스로 나타날 수 있는 가장 흔한 증상이 우울증(憂鬱症)이며, 이 증상으로 치료를 받은 학생은 2550명에 달한다. 서울의 경우 미성년자 우울증 환자의 38%가 학원이 밀집한 5개 구()에서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의하면 조현병으로 인한 연 의료비는 약 3030억원(2013년 기준)으로 우울증의 1870억원보다 훨씬 높은 비용부담이다.

 

2016517일 지하철 강남역 인근 건물 공용화장실에서 20대 여성을 흉기로 수 십 차례 찔러 숨지게 했던 ‘묻지마 살인범’ 김 모 씨(34)에게 조현병을 고려한 판결이 내려졌다. 당시 검찰은 결심공판에서 무기징역을 구형했으나 법원은 “불완전한 책임능력을 보이는 김씨의 형량을 정함에 있어 부득이 심신미약(心身微弱) 상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징역 30년 형을 선고하고 20년 위치추적 전자발찌 부착을 명령했다.

 

대검찰청 범죄 통계에 따르면, 살인 범죄(미수ㆍ예비ㆍ음모ㆍ방조 포함) 최고치를 기록했던 2009(10만 명당 2.8) 이후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며, 2015년에는 958건의 살인 범죄가 발생하여 인구 10만 명당 1.9건 꼴이었다. 958건 중 실제로 피해자가 숨진 사건은 359건이었으며, 범인 검거율은 96.7%(347)을 기록했다.

 

우리나라 형법(刑法) 10조는 심신장애인(心身障碍人)에 대한 형법 총론의 조문이다. 내용은 “심신장애로 인하여 사물을 변별(辨別)할 능력이 없거나 의사를 결정할 능력이 없는 자의 행위는 벌()하지 아니한다. ② 심신장애로 인하여 전항(前項)의 능력이 미약(微弱)한 자의 행위는 형을 감경(減輕)한다. ③ 위험(危險)의 발생을 예견하고 자의(自意)로 심신장애를 야기(惹起)한 자의 행위에는 전2항의 규정(規定)을 적용하지 아니한다.”고 되어있다.

 

조현병(schizophrenia, 정신분열병)이란 뇌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며 사고(思考), 지각(知覺), 감정, 행동 등 인격의 여러 측면에 걸쳐 임상적 이상 증상을 일으키는 정신질환이다. 즉 망상(妄想), 환청(幻聽), 와해된 언어, 정서적 둔감 등의 증상과 더불어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조현병은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들이 있지만, 환자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조현병의 원인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생물학적 소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병되는 것이며, 현재까지 밝혀진 것은 어느 한 가지 원인이 아닌 여러 요인의 복합적 결과이다. 생물학적 원인에는 유전(遺傳), ()의 생화학적 이상, 뇌의 해부학적 이상 등이다. 조현병의 발병은 가족 혹은 혈연관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일반인이 조현병에 걸릴 확률은 약 1% 정도이지만 환자의 직계가족인 경우에는 10% 정도가 된다.

 

조현병의 원인 물질이나 특징적 뇌 구조 변화를 찾아내려는 연구 결과, 뇌 속의 세포들이 서로 소통하고 연결되도록 하는 신경전달물질 중 도파민과 세로토닌이 불균형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조현병 환자의 두뇌는 건강한 정상인의 두뇌와 비교하여 경미한 차이가 있다. 조현병의 기본적인 발병 원인이 생물학적인 것이라 할지라도 출생 전후와 성장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요인들과 환경적 요인들이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현병의 증상을 양성 증상, 음성 증상, 인지 증상, 잔류 증상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양성증상(positive symptoms)은 겉으로 드러나는 비정상적이고 괴이한 증상으로 건강한 사람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정신병적인 증상을 말한다. 대표적인 증상에는 환정(幻聽)이나 환시(幻視) 같은 감각의 이상, 비현실적이고 기괴한 망상(妄想) 같은 생각의 이상, 생각의 흐름에 이상이 생기는 사고(思考)과정의 장애 등이다.

 

음성증상(negative symptoms)이란 정상적인 감정반응이나 행동이 감소하여 둔한 상태가 되며, 사고가 빈약해지고 의욕감퇴, 사회적 위축 등을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대개의 환자들은 웃거나 울거나 화내거나 하는 감정표현이 점차 줄어들고, 병이 악화되면 무표정에 가깝게 변한다. 또한 환자들은 일상적인 생활, 적절한 옷차림, 수면관리, 식사예절, 위생관리 등이 어려워진다.

 

인지증상은 집중력을 유지하기 어렵고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거나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능력이 저하되는 증상을 말한다. 이에 사회적, 직업적 기능을 감퇴시며 환자들이 사회에 복귀하지 못하고 실직하여 좌절감을 맛보게 된다. 잔류증상이란 조현병 환자들은 치료에 의해서든 자연적이든 심한 급성기(急性期)에서 벗어나게 되면 잔류기(殘留期)에 접어들게 된다. 이 기간은 음성증상과 인지 기능의 장애가 주된 증상으로 나타난다.

 

진단은 정신과 전문의가 환자를 면담하고 가족으로부터 자세한 병력과 증상에 관한 정보를 청취한 후 환자의 정신상태를 검사하여 내린다. 첫 발병인 경우 다른 신체질환이나 뇌질환으로 인하여 조현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혈액검사, 뇌파검사, CT, MRI 등을 실시한다. 또 환자의 심리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심리검사를 한다.

 

조현병 치료에는 약물치료와 정신치료를 포함한 정신사회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적절한 약물을 6-8주 투여할 경우 급성기 증상의 상당 부분이 호전된다. 항정신병 약물은 1950년대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조현병의 양성증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0년대 들어서 비전형적 항정신병 약물이라고 불리는 신약들이 개발되었다.

 

조현병 환자들은 급성 증상이 호전된 후에도 자아실현의 욕구가 적어지거나 대인관계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고통을 받는다. 이런 환자에게 심리 사회적 치료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은 준다. 재활치료는 조현병 환자들이 지역사회에서 보다 적극적인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직업적 훈련을 시킨다. 재활 프로그램은 취업상담, 공공 근로 교육 및 상담, 직장에서 의사소통 기술 훈련 등 다양하다.

 

조현병 환자들과 가족들은 ‘자조 모임’을 통하여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다. 즉 자조모임에서 정신병에 대한 교육, 정신병원 및 정신과 의사에 대한 정보 교환, 행정기관에 대한 로비활동, 대중 홍보, 재활기관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조현병 환자들은 대부분 혼자 있고 싶어 하며, 일반인들에 비해 특별히 더 폭력적이지는 않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조현병의 연구, 진료 및 교육 분야 전문가들이 199711월에 창립한 대한조현병학회(Korean Society for Schizophrenia Research)는 매년 학술대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며, 전문 학술지(學術誌)도 발간하고 있다. 환자의 사회적 낙인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정신분열병(精神分裂病)’을 과학적 타당성, 의료적 효용성, 사회적 효용성 등을 원칙으로 한 병명(病名) 개정작업을 2008년부터 주도적으로 추진하여 2011년에 ‘조현병(調絃病)’으로 개정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일본은 ‘통합실조증’으로 개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