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松 건강칼럼 (472)... 無病長壽 걸림돌은?

박명윤(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1 박명윤 건강칼럼.jpg

건강수명(健康壽命) 늘리기

정부(보건복지부) 지난 2011년에 발표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 한국인 건강수명(健康壽命) 2000 66.0세에서 2013년에는 73세로 높아졌지만, 2020년에는 75세까지 끌어 올리겠다고 밝혔다. 건강수명은 기대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활동하지 못한 기간을 것으로 얼마나 건강하게 오래 사는가 나타내는 지표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은 1995년에 제정된 국민건강증진법에 따라 2002 1 종합계획, 2005 2 종합계획, 2011 3 종합계획(2011-2020) 보완한 4 종합계획(2016-2020) 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위원장: 보건복지부 차관) 지난 12 28 열어 심의한 발표했다. 4 계획은 국민의 건강한 생활습관 실천(behavior change) 초점을 두고 보완하였으며, 건강수명 75 목표달성을 위해 흡연, 운동, 영양 생활습관개선을 위시하여 건강프로그램 확충, 건강캠페인 건강증진 대책이 강화되었다.

 

국민건강증진법(國民健康增進法, 법률 4914) 국민에게 건강에 대한 가치와 책임의식을 함양하도록 건강에 관한 바른 지식을 보급하고 스스로 건강생활을 실천할 있는 여건을 조성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국민건강증진사업이란 보건교육, 질병예방, 영양개선 건강생활의 실천 등을 통하여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사업을 말한다.

 

세계보건기구(WHO) 2013 기준 한국인 건강수명은 73세이며, 통계청의 2013 기준 우리 국민의 기대수명은 81.8세이다. 따라서 질병 등으로 건강하지 못한 기간은 8.8년이며, 정부는 건강수명을 75세로 높여 격차를 6.8년으로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16 지표를 선정하여 추진하였으나 일부 지표(신체활동 실천율, 비만 유병률, 고혈압 유병률, 자살률) 지난 5 동안 개선은커녕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실천율은 56.2%(2009)에서 47.2%(2013) 감소했다. 특히 19 이상 성인의 경우 유산소 신체활동과 근력운동 지침을 모두 준수한 사람은 11.8%(질병관리본부, 2012) 불과했다. 신체활동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 신체활동 지침에 대한 대국민 홍보와 지침을 근거로 프로그램 개발 보급 등을 통한 신체활동 증진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성인 비만율도 남성은 2008 35.3%에서 2013 37.6% 증가하였으며, 여성은 2008 25.2% 수준에서 거의 변화가 없다.

 

고혈압 유병률은 2020년까지 23% 낮추는 목표이지만, 2008 26.3%에서 2013 27.3% 높아졌다. 인구가 고령화될수록 고혈압 환자는 늘기 때문에 예방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고혈압 환자는 처방된 약을 반드시 복용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28.5(2013)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평균 12) 가운데 1위인 반면 항우울제(抗憂鬱劑) 처방은 꼴지에 가깝다. 자살사망률의 2020 목표는 당초 인구 10만명당 18명에서 20명으로 상향 조정됐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1 4 발표한 주요 건강위험요인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규제정책 효과평가보고서에 따르면 음주, 흡연, 비만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이 연간 233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2013년을 기준으로 음주, 흡연, 비만 건강위험요인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산출한 결과 음주로 인한 비용은 94524억원, 흡연은 71258억원, 비만은 67695억원으로 233477억원에 달했다. 비용을 성별로 보면 남성이 172000억원으로 여성의 62000억원의 2.8배에 달했다. 연령대별로는 50 32.7%, 40 21.3%, 60 17.1% 등으로 40-60대가 71.1% 차지했다.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은 지난 2005년부터 2 간격으로 이들 건강위험요인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산출하고 있다. 2005 135000억원에서 2007 175000억원, 2009 202000억원, 2011 216000억원 등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지난 8(2005-2013) 동안 사회경제적 비용의 증가폭이 가장 건강위험요인은 비만으로 그동안 2.22 늘어 흡연 1.62배와 음주 1.56배보다 증가폭이 컸다.

 

이에 만성질환 예방과 관리 강화를 위하여 생활습관 위험요인, 선행질환, 만성질환 관리를 종합적으로 연계한다. 생활습관 위험요인은 흡연, 음주, 나쁜 식습관, 신체활동 부족 등이며, 선행단계(고위험군) 고혈압, 이상지혈증, 비만, 당뇨병 전단계 등이며, 주요 만성질환은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등이다. 한국인 사망 원인의 81% 심뇌(心腦)혈관질환, , 당뇨병 만성질환이다.

 

새해가 되면 연례행사인 금연(禁煙), 운동, 다이어트, 절주(節酒) 등을 시도하지만 작심삼일(作心三日) 끝나는 경우가 많다. , 단단히 먹은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한다는 말처럼 한번 결심한 것을 끝까지 성취하는 것은 쉽지 않다. 미국 생리학자 월트 캐넌 박사가 주장한 이론에 따르면 작심삼일 인류 생존을 위해 대대로 전해진 본능이라고 한다. 고대인(古代人)들은 위협적인 상황에 처했을 , 투쟁(fight)하든지 아니면 도피(flight)하는 것을 선택해야 했다.

 

목표를 세우고 노력하다가도 한두 계획이 어긋나고 승산이 없어 보이면 목표가 이기지 못할 같은 상대로 보이는 것이다. 이에 어려운 목표와 싸움을 포기하고 재빨리 도망침으로써 작심삼일이 되고 마는 것이다. 작심삼일을 극복하기 위한 특효약은 도망치지 않고 맞서 싸워 한번 기분 좋게 이겨 보는 경험을 하는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담뱃세를 1갑당 2000원씩 올렸다. 요즘 담뱃세 인상에 따른 금연효과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는 담뱃갑에 경고(警告)그림 도입의 지연 등으로 인하여 당초 예상보다 흡연율 감소 효과가 적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시민단체 등은 처음부터 정부의 예측치가 부풀려져 있었다고 주장하면서, 담뱃세 인상은 흡연율(吸煙率) 감소보다는 세수(稅收) 증대에 목적이 있었다고 말한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담배 판매량이 333000만갑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대비 23.7% 줄었지만 정부가 담뱃세를 올리면서 예상했던 34% 감소보다는 감소 폭이 대폭 줄어든 수치다. 지난해 연간 담배 세수는 당초 전망치보다 7000억원 가량 증가한 10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도 담배세수가 69000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36000억원이 늘어 증가율이 50% 넘는다.

 

새해 금연을 금연캠프에서 도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지난해 3월부터 전국 17 18곳에 국가금연지역센터를 설치하여 금연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일반지원형과 전문치료형이 있다. 일반지원형 캠프는 과거 금연을 시도한 적이 있고 금연의지가 있는 흡연자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전문치료형 캠프는 질병이 있는 흡연자 또는 20 이상 흡연과 2 이상 금연실패 경험이 있는 흡연자가 대상이다.

 

일반지원형 캠프는 2 동안 금연실천을 위한 집단심리상담, 금연교육, 스트레스 관리 들을 다루며, 캠프가 끝난 후에는 찾아가는 금연지원 서비스를 받거나 금연상담 전화 등으로 사후관리를 받는다. 전문치료형 캠프는 45 동안 흡연관련 건강상태 확인, 약물처방, 니코틴보조제 제공, 집단 개별 심리상담, 금연교육 등을 실시한다. 캠프가 끝난 6개월 동안 사후관리를 받는다.

 

질병관리본부의 식품군별 섭취량 추이보고서는 1998-2014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섭취조사 결과를 분석한 내용을 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이 술을 통해 섭취하는 에너지의 양이 최근 16 동안 2.5배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주류(酒類) 섭취량이 1998 48.9g에서 2014년에는 124.7g으로 2.6 증가하여, 에너지 섭취량도 39.3kcal에서 100.0kcal 늘었다.

 

연말에 잦은 송년회 등으로 숙취(宿醉) 시달리는 사람들이 많다. 요즘 한국인 입맛이 세계화되면서 해장 음식도 다양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해장국으로 숙취를 해소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아이스크림 해장 즐기는 젊은이들도 있다. 속풀이용으로 커피 해장 최근의 트렌드이며, 핸드드립 커피를 설탕이나 우유를 넣지 않고 마신다. 콜라를 살짝 끓여 레몬이나 생강을 넣어 마시기도 하며, 뜨거운 물이나 녹차에 소금에 절인 매실 우메보시 넣어 마시기도 한다.

 

대한민국 건강도시협의회 5 의장 도시인 서울시 강동구는 모든 정책에 건강 실현을 담고 있으며, 주민들이 운동으로 살을 빼면서 그만큼 이웃에 쌀을 기부해 눈길을 끌고 있다. 주민들의 비만율(肥滿率) 떨어뜨리는 것을 목표로 건강체중 333 프로젝트 추진하고 있다. 3개월간 3kg 감량하고 3개월간 체중을 유지하면, 기업 등에서 감량한 체중만큼 쌀이나 상품권을 기부한다. 지난해에는 중학교 2곳과 4 회사를 포함해 1151명이 참여하였으며, 160kg 40만원 상당 상품권을 확보, 저소득층에 기부했다.

 

지난해 대세였던 먹방’ ‘쿡방 TV 방송 프로그램에서 비만 사회를 부추기는 내용은 삼가야 한다. 특히 음식을 폭풍 흡입하는 장면, 폭식과 과식하는 장면, 설탕을 과다하게 넣어 조리하는 장면 등은 퇴출시켜야 한다. 단맛에 길들여진 사람은 설탕을 많이 사용한 음식을 계속 찾아 먹게 된다. 이는 니코틴에 중독이 되면 금연을 하기 어려운 것과 같은 이치다.

 

최근 몸짱 열풍이 불면서 운동을 많이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천하는 사람들은 일부에 불과하다. 누구나 쉽게 적절한 운동을 열심히 있도록 사회적 인프라를 확충하여야 한다. 학생 시절에 체육활동이 부족해 운동 습관이 길러지지 않은 것도 성인이 되어 운동 부족의 요인으로 지적되므로 학교체육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 靑松 朴明潤(서울대학교 保健學博士會 고문, 대한보건협회 자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