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松 건강칼럼 (455)... 正祖의 死因

/ 靑松 朴明潤(서울대학교 保健學博士會 고문, 대한보건협회 자문위원)

 

1 박명윤 건강칼럼.jpg

종기(腫氣) 사망

  사도세자(思悼世子, 1735-1762) 아들인 정조(正祖, 1752-1800) 조선의 22 왕이며, 대한제국 추존황제이다. 정조는 11 아버지 세도세자가 죽은 이후 할아버지인 영조(英祖, 1694-1776) 의해 요절한 효장세자의 양자로 입적되어 왕통(王統) 계승하였다. 1776 영조의 승하로 즉위하여 1800년까지 국왕으로 재위하였다.

 

정조는 자주 등에 생긴 종기(腫氣) 때문에 고생을 했으나, 어의(御醫) 약을 처방하면 낫곤 했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그러나 잦은 격무(激務) 과로(過勞) 정조의 종기는 점점 심해져 피고름이 쏟아지고 통증(痛症) 발열(發熱) 멈추지를 않았으며, 얼굴에는 땀띠와도 같은 발진(發疹) 생겼다.

 

좌의정 심환지와 우의정 이시수의 지휘아래 내의원들이 온갖 처방을 하여 치료하였으나 차도가 없자 수은(水銀) 증기를 쐬는 연훈방(煙薰方) 받기로 하였다. 연훈방을 시술하면서 탕약도 곁들였으나, 병세는 점차 위중해졌다. 정조는 음력 6 등에 종기가 생긴 24 만인 1800 6 28일에 창경궁 영춘헌에서 승하하였다. 이때 그의 나이는 49세였으며, 왕위에 오른 24년째 되던 해였다.

 

종기(furuncle) 모낭(毛囊)에서 발생한 염증성 결절을 말한다. 모낭이 세균에 감염되어 고름이 잡히면 모낭염(毛囊炎, folliculitis)이라고 하며, 모낭염이 심해지고 커져서 결절이 생긴 것을 종기라고 한다. 종기가 심해지면 고름집(膿瘍, abscess)으로 발전할 있으며, 여러 개의 종기가 융합해서 염증성 병변이 커지고 깊어진 것을 종기(carbuncle)라고 한다.

 

종기가 심할 경우에는 발열과 같은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종기는 주로 얼굴, , 겨드랑이, 엉덩이, 허벅지 등에 생기며, 당뇨, 비만, 면역결핍 질환, 만성 포도알균 보균자, 불결한 위생 상태 등에서 생긴다.

 

한방에서는 몸에 생긴 종기를 옹저(癰疽)라고 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 옹저()에서는 종기가 생기는 원인, 종류, 치료법 등을 다루고 있다. 종기의 치료법에는 내과적 처치, 고약을 붙이는 방법, 침을 써서 종기를 째는 외과적 방법도 포함되어 있다. 옹저는 () () 함께 돌지 못하고 경락에 머무르면서 막히고 뭉쳐서 생긴 것이라고 본다.

 

이명래 고약(李明來膏藥) 197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서민들이 종기 치료에 주로 사용하던 가정상비약이었다. 이명래 고약은 사람 이름을 브랜드로 사용한 국내 최초의 상표로 기록돼 있다. 광복과 북한의 625남침전쟁 사회적 혼란 속에 가난극복이 최대 이슈였던 1950-60년대, 서민들은 간단한 의약품 하나를 구입하는 데도 힘이 들었다.

 

이명래고약은 현재 우리나라 장년층 이상은 사용하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했다. 이후로 한동안 잊힌 듯하다가 기름종이를 사용하던 것보다 편리한 밴드형으로 출시되었다. 그러나 흉터가 남는 단점, 종기나 화농을 치료하는 다양한 신약이 개발되어 시중에서 찾아보기 힘든 제품이 되었다.

 

이명래(세계명 요한, 1890-1952) 조선 말기 천주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소년시절 이명래는 성당에서 심부름을 하며 프랑스인 신부에게 조제법과 치료법을 배우며 자랐다. 당시 외국인 선교사들은 포교(布敎) 위해 의학지식을 갖추고 있었는데, 충남 아산시 이원면 공세리 성당 드비즈 프랑스인 신부도 한문과 라틴어가 병기된 한방의약서를 지닌 치료와 선교를 병행했다.

 

이명래는 신부로부터 물려받은 한방 의서를 바탕으로 종기를 치료하는 고약을 만들어 이명래고약 탄생하게 되었으며, 16세에 아산에서 명래한의원을 개업했다. 이명래가 만든 고약은 한방 생약(, 황단, 유비, 유향, 창출, 청피, 금은화, 도인, 목향 ) 10 가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만들었다. 한지에 싸여있는 고약을 불에 녹여 환부(患部) 붙이면 고약 안에 박혀있는 콩알모양의 발근고 농을 빨아냈다.

 

지난 9월에 개봉된 이준익 감독의 사도(The Throne) 아버지 영조에 의해 비운(悲運) 죽음을 맞는 아들 사도세자의 이야기다.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비극(悲劇)적인 8일간의 기록을 고스란히 영화로 담았다. 부모와 자식의 관계는 인간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하늘이 맺어준 관계이기 때문에 천륜(天倫)이라고 한다. 왕과 세자로 만나 아버지와 아들의 연을 잇지 못한 운명은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가족사(家族史)이다.

 

사도 오는 11 12일부터 22일까지 미국 하와이에서 열리는 35 하와이국제영화제에서 개막작으로 선정되었다. 지난 1981 설립된 하와이국제영화제는 6개의 하와이 섬에 위치한 12개가 넘는 상영관에서 전세계 영화 200여편을 상영하는 북미 최대 규모의 영화제 하나이다.

 

1762(영조 38) 영조가 자신의 외아들인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고 죽게 만든 참변을 일으킨 것은 왕세자(후일의 사도세자) 둘러싸고 표면화된 갈등이다. 신임의리의 붕괴를 우려하는 노론 일부의 불만을 수습하기 위해서였건, 일부 궁중세력의 모함 이였건, 이상성격으로 인해 임금이 되기에 부적절한 인물이어서 미리 제거하지 않을 없었던 간에 영조로서는 고통과 좌절을 받았다.

 

뒤주 곡식을 담아두는 () 통나무나 널빤지로 짜서 만든다. 통나무로 만드는 것은 밑동과 머리에 따로 널빤지를 대어 막고, 머리 부분의 한쪽을 열도록 문짝을 달아 곡식을 넣거나 퍼낸다. 널빤지를 짜서 만드는 뒤주는 기중을 세우고 벽과 바닥을 널빤지로 마감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머리에 천판을 설치한다. 천판은 짝으로 만들어 뒤편의 것은 붙박이로 하고 앞쪽으로 여닫는다. 여닫는 데는 장석을 달아 자물쇠를 채운다. 가정에서는 대개 대청마루에 두고 곡식, 주로 쌀을 담아두었다. 필자도 1950년대 고등학생 시절 우리 대청마루에 있던 뒤주를 기억하고 있다.

 

영화 사도 사도세자가 뒤주 속에 갇혀 있던 8 동안 그의 성장과정, 아버지 영조와의 심적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영조는 아들을 뒤주에 가둔 쇠못을 박아 죽게 하여 엽기적인 방식으로 집행된 측면이 있다. 영조는 무수리의 아들로 태어나 경종을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는 정통성 논란에 시달린다. 이에 학문과 예법에 있어 완벽한 왕이 되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인다.

 

영조는 학문과 예법에 있어 완벽을 추구한 임금이다. 뒤늦게 얻은 귀한 아들 세자만은 모두에게 인정받는 왕이 되길 바랐지만 기대와 달리 어긋나는 세자에게 실망한다. 어려서부터 총명한 세자에게 기대를 가졌으나, 자라면서 무예와 그림에 흥미를 보이고 아버지의 기대를 부담스러워한다. 또한 자신의 진심을 몰라주고 다그치기만 하는 아버지를 점점 원망하게 된다. 이에 비극적인 가족사가 전개된다.

 

영조는 조선 후기 가장 위대한 성군(聖君) 하나로 꼽히며 조선 역사상 가장 재위 기간인 52 동안 옥쇄(玉碎) 쥐고 있었다. 그러나 영조는 뒤틀리는 있으면 임금 자리를 사도세자에게 양위하겠다고 했다. , 왕위를 후계자에게 계승시킨다는 양위(讓位)선언을 5번이나 했다. 양위파동은 때로는 신하들의 충성도를 시험해 보기도 하고, 때로는 과거 자신의 치부(恥部) 덮는 활용하기도 했다. 사도세자는 양위파동과 대리청정으로 인하여 극심한 불안증세를 나타냈다.

 

사도세자의 아들인 정조의 숙원 하나는 양주 배봉산( 서울시립대 뒷산) 있는 부친의 묘소 영우원(永祐園) 길지(吉地) 이장하는 것이었다. 정조는 국왕이 13 만인 1789 10 사도세자의 묘를 경기도 화성군 태안읍 안녕리로 이장하여 현륭원(顯隆園)이라고 하였고, 마음속 깊이 남아 있던 () 있었다. 그리고 현륭원 인근에 화성(華城) 축조하였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 이장을 계기로 화성(현재의 수원) 계획도시로 만들어 개혁의 시험 무대로 삼고자 했다.

 

화성은 군사적 방어 기능과 정치, 상업적 기능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으며, 2 6개월의 공사 끝에 1796(정조 20) 9 10일에 완공되었다. 정조는 화성에 유수부(留守府) 두고 행궁과 군영을 설치하여 정치적 군사적 기능을 부여하였다. 화성은 18세기 조선의 과학과 건축기술을 결집해 만든 걸작으로 인정을 받아 1997년에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해마다 10월이면 정조 임금이 화성을 세운 기념하는 수원화성문화제 열리고 있으며, 금년에는 지난 8일부터 11일까지 열렸다. 정조대왕 능행차, 화성 깃발 싸움, 화성 축성 체험, 화성 행궁 체험, 민속놀이, 불꽃놀이 다양한 행사가 마련됐다. 내년엔 화성 축성(築城) 220년을 기념하여 서울 창덕궁에서 수원 화성까지 이동을 재연한다고 한다.

 

특히 1795 정조 임금의 명령으로 만들어진 배다리 내년에 다시 만들어진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배다리는 고려 때부터 만들었지만 가장 유명한 정조 임금과 6000명의 사람이 함께 건넜던 배다리이다. 옛날에는 한강처럼 강을 건너는 다리가 없었기 때문에 배들을 엮어 배다리를 만들어 임시로 사용했다.

 

영조(英祖)-사도세자(思悼世子, 莊祖)-정조(正祖) 이어지는 3() 걸친 유전자(DNA) 어떻게 전해졌는지가 궁금하다. 후성유전학(epigenetics)에서는 유전자는 자식 세대에게 그대로 전달되지만, 특정 시기 먹고 마시고 경험한 모든 일에 따라 특정 유전자의 스위치가 켜지거나 꺼진 채로 자식에게 전해진다고 한다. 후성유전자의 변형은 최소 4()까지 미친다고 한다.

 

정신적 충격도 자식에게 유전된다. 코르티솔(cortisol) 정신적 외상(外傷) 트라우마(trauma) 겪은 사람에게서 높게 나타나는 스트레스 호르몬이다. 특정 시기 정신적 상처를 겪은 이들은 나중에 전혀 문제가 없을 때에도 코르티솔 수치가 높게 나타난다. 트라우마는 유전자를 변화시키며 변형된 유전자는 다음 세대까지 전해진다.

 

우리가 일상에서 하는 선택이 다음 세대 그리고 그다음 세대까지 차이를 낳을 있다고 한다. 한편 물려받은 유전자가 비록 좋지 않더라도 나의 올바른 선택에 따라 자식 세대에게 좋은 유전자의 스위치가 켜진 채로 물려줄 수도 있다고 한다. DNA 우리 스스로의 선택에 따라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나갈 있다고 한다.

 

후성유전학의 권위자인 영국 런던 임페리얼대학 네사 캐리 교수는 유전자는 판박이를 찍어내는 주형(鑄型) 아니라 연극의 대본(臺本) 같은 것이므로 같은 대본이라도 어떻게 연출(演出)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작품이 나오듯이 동일한 유전자라도 어떤 스위치가 켜지고 꺼지는가에 따라 완전히 다른 운명이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우리 모두 명심해야 말이다.